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1. 타입스크립트 vscode로 시작 + eslint + prettier 초기 설정

타입스크립트

by codege 2023. 7. 11. 01:49

본문

1. 원하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으로 들어간다.

mkdir type-1
cd type-1

2. npm 프로젝트를 초기화 한다.

npm init

3. typescript, nodejs 용 타입 선언을 설치한다.

npm install --save-dev typescript @types/node

☞ 참고 

npm install --save 프로젝트의 dependencies 목록에 추가한다.
프로젝트 실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된다.
npm install --save-dev
npm install -D
프로젝트의 devDependencied 목록에 추가한다.
개발시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라는 뜻이다.
npm install -g 패키지를 프로젝트가 아닌 시스템의 node_module에
추가한다는 뜻이다.

 

4. tsconfig.json

타입 스크립트 파일을 자바스크립트 파일로 변환할 때의 규칙을 설정하는 파일이다.

생성한 프로젝트 안에 node_module이 위치한 곳에서 

./node_modules/.bin/tsc --init

을 하게되면 자동 설정이 된다.

{
  "compilerOptions": {
    /* Language and Environment */
    "target": "es2016",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* Set the JavaScript language version for emitted JavaScript and include compatible library declarations. */

    /* Modules */
    "module": "commonjs",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"esModuleInterop": true,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"forceConsistentCasingInFileNames": true, 

    /* Type Checking */
    "strict": true,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* Enable all strict type-checking options. */
    "skipLibCheck": tru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/* Skip type checking all .d.ts files. */
  },
  "include":[
    "src"
  ]
}

● include : 타입스크립트 파일을 찾을 디렉터리이다.

● module : 컴파일할 대상 모듈 시스템 (컴파일이란 컴퓨터가 알아먹을 수 있는 언어로 바꾼다는 뜻이다)

● strict : 코드를 검사할 때 엄격하게 검사한다.

● target : 자바스크립트 버전을 말한다.

 

6. eslint (코드 스타일 규약=> 대규모로 여러명이 작업할 때, 약속을 정한다고 보면 된다.) 설치

prettier 미리 규칙을 정해서 규칙에 맞게 코드를 정리하는 도구다.

vscode에서 아래 두 플러그인을 설치하고

npm install --save-dev eslint prettier @typescript-eslint/parser @typescript-eslint/eslint-plugin
npm install --save-dev eslint-config-prettier eslint-plugin-prettier

eslint 화 prettier을 함께 사용할 플러그인.

npm install --save-dev eslint-plugin-react eslint-plugin-react-hooks eslint-plugin-jsx-a11y eslint-plugin-import

 eslint-plugin-react : 리액트 규칙

 eslint-plugin-react-hooks : React Hooks 규칙

 eslint-plugin-jsx-a11y : JSX 요소의 접근성 규칙

● eslint-plugin-import : ES6의 import, export 플러그인

 

7. 설정을 하자.

.prettierrc   tsconfig.json 이 있는 위치에 만든다.

{
	"singleQuote": true,
	"parser": "typescript",
	"semi": true,
	"useTabs": false,
	"tabWidth": 2,
	"printWidth": 120,
	"arrowParens": "always"
}

● singleQuote : single은 작은 따옴표, double는 큰 따옴표로 생각하면 된다.

 semi : 문장 마지막에 세미콜론을 붙일지 여부이다.

 useTabs : 탭을 사용하여 공백을 쓸지 여부.

 printWidth : 한 줄의 최대 길이 

 tabWidth : 처음 들여쓰기에 사용되는 칸 수이다. 

 arrowParens : 화살표 함수 사용시 괄호로 매개변수 사용.

./node_modules/.bin/eslint --init

.eslintrc.json

{
    "env": {
        "browser": true,
        "es2021": true
    },
    "extends": [
        "standard-with-typescript",
        "plugin:react/recommended", "prettier"
    ],
    "parserOptions": {
        "ecmaVersion": "latest",
        "sourceType": "module"
    },
    "plugins": [
        "react"
    ],
    "rules": {
    }
}
  • env: 사용하는 환경
  • extends : 사용하는 확장 기능
  • parserOptions: 사용버전
  • plugins : 플러그인
  • rules : 세부 설정 (규칙) 추가

mkdir src
cd src
vim index.ts
console.log("첫 타입스크립트")
./node_modules/.bin/tsc

●  타입스크립트 컴파일 실행 하면 src폴더 안에 js 파일이 생긴다.

● node index.js를 실행하면 로그값이 나오게 된다.

 

▶ 참고

ts-node

npm install -g ts-node
ts-node 타입스크립트파일명.ts

컴파일 없이 실행 가능하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타입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 타입스크립트 타입 정리  (0) 2023.07.11

관련글 더보기